리쉬(LEASH)와 바인딩 착용방법
리쉬(LEASH) 착용방법리쉬(leash)는 바인딩과 다리를 이어 주는 끈으로 스키의 스톱퍼와 같은 역할을 해주는데, 가장 먼저 착용해야 한다. 리쉬를 바인딩에 건 후 발목에 묶어준다. 이때 끈을 너무 늘어트리면 리쉬가 라이딩 시 슬로프에 끌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음으로 적당하게 조절하여 묶어주어야 한다.
바인딩(BINDING) 착용방법소프트 바인딩의 경우 슬로프 바닥에 주저앉아 앉아서 채우는 방법이 있지만 진행 방향의 발만을 착용한다면 무릎을 꿇어 채우는 방법이 편하고, 이 방법만 숙지하면 바닥에 앉아서 채우는 방법은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다. 그러나, 양쪽 발의 바인딩을 모두 채울 때는 항상 앉아서 채워야한다. 뒷발 무릎을 보드에 올려놓고 보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행방향의 발을 먼저 채운다.
이때 언클 스트랩(ankle strap)부터 채운다. 그 이유는 바인딩 안쪽에 부츠의 뒤꿈치를 최대한 밀어 넣어야 만이 라이딩 할 때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드 바인딩은 소프트 바인딩과는 달리 앉아서 채우는 것 보단 서서 채우는 것이 훨씬 쉽다. 먼저 뒷발을 보드와 슬로프를 절반씩 밟아서 보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뒤축을 바인딩에 걸고 앞의 레버를 서서히 당겨 채우도록 한다.
기본동작기본자세(Stance)일반적으로 다리는 기마(騎馬)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다. 초보자 때는 많이 넘어지므로 자세를 낮춰서 안전성을 높이는 것도 바람직하다.
손은 일반적으로 가볍게 들어 편하게 하면서 중심을 잡으면 된다. 이때 손바닥은 아래로 향하게 하고 손가락은 펴주어야 한다. 시선은 항상 가는 방향을 멀리 주시한다. 일반적으로 초보자는 자신의 보드만을 쳐다보는데 그렇게하면 균형감각이 떨어지게 되므로 좋지 않다. 가슴방향은 진행 방향 쪽으로 15°정도가 적당하다. 허리는 절대적으로 펴주어야 한다. 허리를 구부리게 되면 엉덩이가 뒤로 빠지게 된다. 허리를 편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다리만 굽으려주면 된다. 보드의 무게 중심은 스키와 마찬가지로 진행방향 쪽에 둬야한다. 그래야 만이 턴이 쉽게 되고 보드의 컨트롤이 용이하다.
알파인의 경우는 프리스타일보다 다리를 많이 구부린다는 것이 특징이다. 즉. 자세를 많이 낮추어야 하는데, 이때도 마찬가지로 허리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허리가 구부러지게 되면 엉덩이가 뒤로 빠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몸의 중심이 보드 뒤쪽으로 힘을 받게 되기 때문에 보드를 컨트롤하기가 매우 힘들어 진다. 알파인의 바인딩 각도는 프리스타일의 경우보다 상당히 높다. 따라서 가슴방향은 진행 방향을 향하게 된다. 무게중심은 몸의 체중을 스키와 마찬가지로 부츠의 텅(tongue)에 싣는다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진행방향쪽에 두도록 한다. 손은 가슴 쪽으로 모아 주는 것이 좋다.
스케이팅(SKATING) 스케이팅은 보드를 착용한 채 평지를 이동할 때 쓰이는 기술이다. 앞발을 바인딩에 채운 후 뒷발로 눈길을 밀면서 앞으로 나가는 자세를 말하는데 이때 몸의 무게중심은 항상 앞발에 두어 그 자세를 고정(유지)해야 하며, 상체는 흔들림이 없어야한다. 뒷발은 단지 밀어준다는 작용 외에는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 두어야한다.
몸의 균형을 앞발에 유지한 채 뒷발로 가볍게 밀어준다. 뒷발을 들어 살며시 보드 중앙 부분에 얹어 놓는다.
경사면 등반경사면을 오를 때엔 앞쪽 발에 바인딩에 채워져 있고 뒤쪽 발은 바인딩이 채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바인딩에 채워져 있지 않는 발을 먼저 한 걸음 간 후 바인딩에 채워져 있는 발을 Edge가 설 면에 날카롭게 박히게 하면서 따라가면 된다.
바인딩에 채워져 있는 발을 구부리게 되면 자연적으로 Edge가 설면에 서게 됨으로 경사면을 등반하기 쉬워진다.
경사면을 오를 때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Edge의 이용방법을 잘만 터득한다면 빠른 속도로도 경사면을 오를 수가 있다.
경사면에서 스케이팅(SKATING)후 정지하기양팔은 자연스럽게 벌려서 몸의 중심을 잡고 몸(허리와 어깨)과 시선을 서서히 왼쪽 방향으로 돌리면 서서히 보드가 왼쪽방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보드가 완전히 돌아갔으면 뒤꿈치에 몸의 체중을 강하게 실어 주면서 자세를 낮추면 정지가 된다. 프론트 사이드와 백사이드 모두 충분히 연습한다.
리프트(LEFT) 타고 내리기먼저 앞의 리프트가 지나가면 천천히 스케이팅을 하여 리프트 대기 장소에서 리프트를 기다리면 된다. 리프트를 기다릴 땐 보드가 그림과 같은 방향으로 항상 유지되게 하면서 뒤를 돌아본다. 보드의 방향이 가로로 놓여지게 되면 리프트를 탄 후 설면에 Edge가 걸려 넘어지는 경우가 발생함으로 각별히 주의하기 바란다. 리프트가 엉덩이 부분에다가 오면 살며시 앉고 앞을 바라본다. 이때 양발을 살짝 들어줘야 Edge가 설면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착지할 지점이 다가오면 똑바로 앉아 있던 자세에서 보드가 리프트와 수직이 되게끔 45°정도 돌려 앉는다. 보드가 설면에 닫으면 뒷발을 보드의 중앙에 살짝 올려놓음과 동시에 손은 리프트를 살짝 밀면서 자연스럽게 일어나 준다. 일어남과 동시에 몸의 무게 중심을 앞발 쪽에 두어야 한다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 리프트에서 내린 후엔 절대 당황하지 말고, 지상에서 연습한 경사면에서 스케이팅하던 방법을 떠올리면서 천천히 전진한다. 속도가 줄어들면 몸을 돌려 회전한 후 정지하면 된다.
경사면에서의 무게중심스노우보드는 무게중심 운동이라 해도 과언이 나니다. 먼저 양발에 균일하게 즉 보드의 중앙에 무게 중심을 두고 엣지(Edge)가 항상 산 위쪽으로 향하게 해야한다. 그런 상태에서 언제나 그렇듯이 허리는 항상 곳곳이 세운 채 무릎으로 무게중심을 조절해야 한다. 경사가 약간 심한 경우 전체적인 무게중심은 무릎에 두고, 경사가 낮은 경우엔 무릎을 약간 구부려주고 무게 중심은 허리에 두어야 한다. 프론트 사이드와 백사이드 때도 마찬가지이다.
※ 경사면에서 Edge의 방향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결코 역 Edge가 되게 해서는 안 된다.
넘어지기스노우보드에서 넘어지는 동작은 아주 중요하며 부상을 입지 않도록 안전하게 넘어지는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앞으로 넘어지려 할 때는 먼저 시선을 멀리 두어야 한다. 대부분 앞으로 넘어질 때는 바닥을 쳐다보게 되는데 그렇게 하면 저절로 손을 짚어 손목에 무리가 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무릎을 구부려서 넘어지는 동작도 무릎관절에 무리가 오기 때문에 그러한 동작들은 피해야 한다. 앞으로 넘어지려 할 때는 야구선수가 해드(head) 슬라이딩을 하듯이 양손을 쭉 펴고 몸을 아래도 향해 던지면 안전하고 안 아프게 넘어질 수 있다. 즉 오히려 더 먼저 능동적인 자세를 먼저 취해야 한다.
일어서기앉은 상태에서 허벅지를 가슴에 붙인 후에 힐(heel) Edge를 확실하고 깊게 눈 속에 박아둔다. 한쪽 손으로 눈을 밀면서 그 반동으로 일어선다. 이때 경사면에서의 무게 중심을 염두에 두어 일어서자마자 중심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없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Edge의 중요성과 경사면에서의 무게 중심을 잊어버리게 되면 일어날 때 자꾸 미끄러지므로 일어서기가 힘들다. 엉덩이를 뒤꿈치에 붙이고 허리는 편 상태에서 토우(toe) Edge를 확실하게 세워 준다. 한 손으로 살짝 밀어주면서 역시 무릎을 계속 구부린 자세로 앉자 있은 후에 천천히 일어나면 된다.
방향전환 보드는 양발이 붙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 하기가 쉽지 않다. 나중에 상급자가되면 제자리에서 점프를 해서 방향을 전환 할 수도 있고 굳이 앉지 않아도 쉽게 방향 전환이 가능하나 초보자 시절엔 다소 불편한 점이 있더라도 항상 앉아서 방향을 전환하기 바란다.
1.서 있는 상태에서 앉아 준다.
2.보드를 엉덩이 쪽으로 바짝 당긴다.
3.보드만을 돌리려 하지 말고 좌/우로 구르듯이 몸의 전체를 돌린다.
4.Edge를 설면으로부터 직각이 되게 세우고 천천히 일어선다.
한발에만 바인딩이 채워져 있는 경우엔 그냥 서서 방향을 전환하면 된다. 그러나 이때 바인딩에 채워져 있는 발에 절대 무게 중심을 두지 않은 상태에서 천천히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사이드슬립(SIDE SLIP)슬로프를 미끄러지면서 내려오는 기술로 엣지 감각을 충분히 익히고 초보자가 내려오기 어려운 급경사나 폭이 좁은 슬로프에서 쉽고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도록 해준다. 뒤꿈치에 엣지를 주면서 서서히 내려온다. 시선은 항상 자신이 내려가는 방향의 5M 정도 앞을 내다보는 것이 좋다. 무게중심은 정확하게 가운데에 주어야 하며 허리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다리만 약간 굽힌 상태로 내려와야 한다. 이때 왼발에 중심을 주면 왼쪽으로, 오른발에 중심을 주면 오른쪽으로 보드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절대 어깨를 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PENDULUM[GARLAND](낙엽 쓸기) 사이드슬립 자세에서 지그재그로 사면을 내려오는 것을 말하는데 이동하는 방식은 가고자 하는 방향에 몸의 무게를 실어주면 된다. 만약 이것이 잘 안되면 시선, 어깨, 허리, 골반 라인을 가고자 하는 반대 방향으로 약간 돌려주면 더 쉽게 사면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방향이 바뀌는 부분에서는 정지 해준다.
일정한 속도로 사선을 내려가는 방법은 시선, 어깨, 허리, 골반 라인을 가고자하는 반대 방향으로 돌려주되 너무 많이 돌리지 말고 일정한 각도로 돌려주면서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 항상 출발은 서서히 하기 나름이다 이때 사선으로 빨리 움직이지 않는다고 많은 각도로 돌려주면 나중엔 방향이 많이 틀어져서 너무 빨리 내려가는 현상을 초래하므로 주의한다.
사선으로 가다가 정지하는 방법은 현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훨씬 많이 돌려주면서 자세를 낮추어 무게를 하단에 실어 주면 된다.